eBay

미국 소액면세제도 폐지에 따른 물류서비스 변경 및 대응법 안내

판매자님 안녕하세요. 오는 2025년 8월 29일(현지 도착분 기준)부터 시행되는 미국 소액면세(De Minimis) 제도 폐지에 따라, 현재까지 확인된 미국행 물류 변경 정보를 공유드립니다.


*참고: [공지] 미국 관세 정책 최신 업데이트 안내

*참고: [공지] eBay 미국행 배송 DDP(Delivered Duty Paid) 의무화 안내




우체국


8월 25일 (월) 부터 미국행 항공소포 접수가 중지되며, 8월 26일부터 미국행 국제특급우편서비스(EMS)의 우체국 창구 접수가 중지됩니다. 단, EMS프리미엄(민간 특송사 제휴서비스)는 계속하여 이용 가능합니다.


9월 22일 (월) 부터 미국행 국제우편 접수를 재개하였으며, 800달러 이하 상품은 DDP로 발송이 가능해집니다. 우체국 공지사항 바로가기

※주의: 10/17부터 eBay 한국 판매자의 모든 판매 상품은 DDP로 발송해야 합니다. 





이베이eGS


eGS EMS 서비스는 위 정책변경의 영향으로 8월 25일 (월) 부터 접수가 중지되며, eGS Standard와 Express 서비스는 계속하여 이용 가능합니다. 서비스별 세부사항은 eGS공지사항을 확인하세요.


(1) eGS Standard 변경내용 - 8/29 픽업분 부터

통관 방식: DDP(관세 선납) – eGS Standard 운임 안에서 관세 선납하는 형태

신고 가능 금액: 기존 USD 800 → USD 2,500으로 상향 

・8월 29일 픽업분부터 요율이 변경됩니다. 


(2) eGS Express 변경내용 - 9/12 픽업분 부터

통관 방식: DDP(관세 선납) – 통관사가 일괄 납부 후 판매자에게 후 청구

청구 주기: 월 단위 

신고 금액 제한 없음 (단, 수취인 제출 통관서류 요구 가능) 


(3) 적용 세율 - 8/29부터 모든 상품에 적용

상호관세 15% 부과 (Standard / Express 동일) 

상품 HS CODE에 따라 미국 기본 세율 적용 

・eGS Express는 상호관세 + 기본세를 합산하여 발송자(판매자)에게 청구 예정


이베이eGS 서비스 안내 

- 이베이eGS 가입하기 Click

- 이베이eGS 가입방법 YouTube 영상보기

- eGS 사용방법 YouTube 영상보기




DHL


DHL서비스는 계속하여 이용 가능합니다. 


통관 방식: DDP(관세 선납) 및 DDU(관세 바이어 부담) 모두 선택 가능

※주의: 10/17부터 eBay 한국 판매자의 모든 판매 상품은 DDP로 발송해야 합니다. 


신고 가능 금액 상한: 

    ・2,500불 이하: Informal Entry 

    ・2,500불 초과: Formal Entry 신고 진행 가능


DHL 영업점 연락 방법:

DHL 신규이용문의는 DHL코리아 김성현 담당자(SeongHyun.KIM@dhl.com), 참조(Cc)에 서빛나 담당자(Bitna.seo@dhl.com)를 지정하여 메일로 연락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대응하세요 - eBay 리스팅


(1) HS CODE 및 원산지를 확인하여 리스팅의 Item specific - COO 란을 업데이트하세요


(2) 미국 바이어에게 DDP로 발송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미국행 상품의 경우 X월 XX일부터 DDP로 발송되며, 배송비가 부득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라는 내용을 리스팅 상에 표시하세요.


(3) 미국행 상품의 관세 변동에 대비하여 배송정책을 별도로 마련하세요. 예를들어, Domestic shipping 의 요율을 DDP 비용을 포함하는 shipping policy를 생성하여 리스팅에 적용시키고, 추후 정책변동 시 원상복구하는 형태로 대비할 수 있습니다.


HS Code 및 관세를 확인할 수 있는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무역통계진흥원 사이트: https://www.tradlinx.com/ko/hscode

• 한국 무역협회 관세계산기: 

https://www.kita.net/tradeNavi/tariffCalculator/tariffRateSimpleCalculator.do



※주의※ 관세 회피를 위해 원산지, 품명, HS CODE 오기재 등이 적발될 경우 40%의 추가 관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